본문 바로가기

건반9

음악의 기초 마지막 (텐션) 7화음을 누르면서 더 풍성한 사운드, 혹은 뭔가 어려운 느낌의 사운드를 낼수있게 해주는게 '텐션'입니다. 7화음 '위' 로 '3도' 씩 쌓은 기본적인 텐션들입니다. '9,11,13' 이지만 '2,4,6' 음들과 같다는 것을 알고계시면 찾기 더 쉽습니다. 그리고 '9,11,13' 에서 b이 붙거나 #이 붙은 경우도 있습니다. (Ex/ b9, #11) 위의 표가 사용 가능한 텐션입니다. 하지만 도미넌트7화음은 '11음' 을 제외한 '#' 이나 'b' 이 붙은 화음들을 포함한 모든음을 텐션으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여기서 사용 불가능한 텐션들이 있는데 그런 텐션들은 '어보이드(Avoid) 노트' 라고 부릅니다. 텐션들이 내주는 효과는 일부로 부딪히는 느낌을 내줍니다. 그렇다고 불협이랑 같은 느낌으로 보시면 안됩.. 2023. 2. 22.
음악의 기초 6 (다이아토닉) '다이어토닉 스케일'(Diatonic scale) 은 한 옥타브 내에 '온음 5개' 와 '반음 2개' 가 들어가 있는 스케일입니다. 사실상 'Major scale' 과 같습니다. 위의 표가 '7화음의 다이아토닉' 입니다. 왼쪽부터 '1도' ~ '7도' 로 읽습니다. 여기서 중요한건 '음의 구성' 이 아니라 위에 쓰여있는 '영어' 들입니다. 영어들이 의미하는건 'Chords' 들 인데 'CM7' 에서 중요한건 'C' 가 아닌 'M7' 입니다. 왜냐하면 다이아 토닉은 'Key' 가 바뀌어도 규칙이 유지되기 때문에, 'CM7' 이 아닌 '1M7' 이라는점이 핵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C키의 다이아토닉 코드' 를 외우는것이 아니라 아래에 있는 '순서' 를 외워 두는게 맞습니다. *1,4도 코드 - M 2,3,.. 2023. 2. 16.
음악의 기초 5 (7화음) '7화음'은 3화음에서 '7도' 를 더해서 만들어진 구조입니다. 위의 그림이 기본적인 7화음 코드입니다. 여기서도 코드들은 'M7' 을 기준으로 파생됩니다. *CM7은 3화음에서 배우신 CM + 7도 C7은 (CM + b7도) Cm7은 (Cm +b7도) Cm7(b5)는 (Cm7에서 b5도 로 변경) *O표시는 dim이고 +표시는 aug입니다. Co7은 Cm7(b5)에서 7도에 b한개 더 추가 Cm(M7)는 Cm7 + 7도 C7(sus4)는 C7에서 3도대신 4도를 추가 C+M7은 CM7에서 5도에 #을 추가 ' C+7 C7에서 5도에 #을 추가 이러한 코드들에 빨리 익숙해지려면 문제를 많이 풀어보는게 좋습니다 피아노로 코드를 누르면서 어떤 코드가 어떤느낌인지 '귀에 익숙하게' 하는게 가장좋습니다. 결론!.. 2023. 2. 15.
음악의 기초 4 (조표) 기초 1에서 배운 '#' 과 'b' 은 음표옆에 붙여서 음의 높낮이를 움직였지만, '조표' 는 처음부터 음의 위치를 바꿔놓고 시작하는것 입니다. 1. # 조표 조표가 붙는 순서는 '파->도->솔->레->라->미->시' 입니다. 이부분은 외우시는게 가장 좋습니다. 아래에있는 영어는 일단 무시하세요. 어려워집니다. 2. b 조표 # 조표와 거꾸로 '시->미->라->레->솔->도->파' 입니다. 마찬가지로 아래있는 영어는 넘어갑시다. 3. 조표의 특이사항 *중간에 '다른 조표'로 바뀌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경우에 '전조' 된다고 표현합니다. *'제자리표'에는 영향을 받습니다. *모든 '마디' 와 '옥타브' 에 적용이됩니다. 붙은 곳만 바꾸는게 아닙니다. 3. key 찾는 방법 위에서 넘어간 영어들이 'ke.. 2023. 2. 14.